정적컨텐츠: 파일을 그대로 전달
MVC와 템플릿 엔진: 서버에서 변형해서 html을 바꿔서 전달
API: JSON 포맷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ex 서버끼리 통신
View ->화면과 관련된 일만 처리
controller-> 비즈니스로직, 서버와 관련된 일 처리
@ResponseBody -> http 통신 헤더, 바디 중 바디에 직접 넣어주겠다 ex return "hello " + name
*객체를 반환하는 경우는 JsonConverter가 동작하여 json 형태로 변환
서비스->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를 가지고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
테스트를 할 때에는 의존하지 않게 데이터를 깔끔하게 지워주는 작업 필요
Test : given-when-then 기법 활용
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
-컴포넌트 스(@)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
-자바 코드로 직접 스피링 빈 등록하
*하위 패키지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스피링 빈 등록 x
input에서 name은 서버로 넘어갈 때 key 역할을 함
@Transactional은 test시 자동으로 rollback 처리
스프링 데이터 JPA에서 기본 메소드 공통으로 제공
프록시->가짜 memberService
*단축키
ctrl shift 엔터 -> ;까지 포함
ctrl art v -> 이름까지 붙여줌
ctrl shft T -> test클래스 만들어줌
soutm
#Spring #백엔드 #백엔드개발 #개발자
'스터디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고급] 프록시팩토리와 포인트컷,어드바이스,어드바이저 (1) | 2024.12.29 |
---|---|
[SPRING 고급] JDK 동적 프록시와 CGLIB (2) | 2024.12.27 |
[SPRING 고급] 프록시 패턴과 데코레이터 패턴 (0) | 2024.12.24 |
[SPRING 고급] 템플릿 메서드와 전략 패턴, 템플릿 메서드 패턴 (2) | 2024.12.21 |
[SPRING 고급] 동시성 문제와 ThreadLocal 사용 (1) | 2024.12.17 |